반응형
로마 콜로세움 자료 모음
- 이전 글들./글 쓰기 자료실
- · 2019. 12. 26.
판타지 경제 참고자료
- 이전 글들./글 쓰기 자료실
- · 2019. 5. 5.
반응형
1분만에 끝내는 스크리브너 기본세팅 1. 처음 시작화면. 맥 화면이라 윈도우랑 다를 수 있어요 2. 공백 문서 클릭하고 제목 입력 3. 나오는 화면 4. 왼쪽 상단에 레이아웃에 듀얼탐색 5. 이렇게 화면을 만들어 줍니다 6. 녹색의 + 눌러서 새로운 폴더나 텍스트 만들 수 있어요 7. 폴더 만들었으니 새 텍스트 눌러서 만들어 줍니다. 폴더 아이콘이나 텍스트 아이콘 드래그하면 이동할 수 있어요 8. 그냥 쭉 만듭니다 9. 제목 넣어줄 수 있는데 한 문장정도만 이 화에서 뭘 보여줄지 써 줍니다 10. 예시화면 보통 중앙에 자기가 쓰는 화면을, 오른쪽 위에는 전체적인 줄기를, 오른쪽 아래는 전화 띄워놓고 써요 11. 라벨도 만들 수 있습니다. 편집 누르면 위기나 보상, 전개 등의 키워드로 바꿀 수 있어요 12..
소설 쓸 때 '말했다.'라는 귀신을 잡아먹는 어휘와 표현 300여 개 173 회에 이르는 장편소설 '무궁화의 진실'을 쓰다 보니 대화가 나올 때마다 '말했다.'라는 귀신이 자주 튀어나오더군요. 시행착오와 여러 소설을 보면서 아래와 같은 '말했다.'라는 귀신을 잡아먹는(=대치할 수 있는) 300여 개의 어휘와 표현을 찾아내었습니다. 회원님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게시합니다. 물론 따옴표로 대화를 인용해야만 할 때, 소설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문맥으로 보아 인용되는 대화가 누가 말하는 것인지 쉽게 알 수 있다면 가장 좋겠지요. 그러나 왕왕 '아무개가 말했다.'라고 밝혀야만 할 때가 생겨납니다. 그때마다 '말했다'를 반복해서 쓰면 작가나 독자나 모두 지겨울 테죠. 대체 가능한 어휘 ..
중세 유럽의 화폐 단위 중세 유럽의 화폐 단위 페니(Penny) : 영국 파운드의 옛 보조단위로, 1/240 파운드이고 1/12실링이었다. 기호는 d. 현재는 1/100파운드이며, 기호는 p를 쓴다. 파운드(Pound) : 240 페니. 가장 큰 단위의 화폐였다. 플로린(Florin) : 120 페니. 3~5g의 금이 함유된, 국제 통화로써 쓰인 금화였다. 실링(Shilling) : 12 페니. 주로 상인들 사이에서 많이 쓰인 화폐이다. 오블롱(Oblong) : 0.5 페니. 구리로 만들었다. 하프 오블롱(Half Oblong) : 0.25 페니. 구리로 만들었다. 리브르(Livre) : 14세기에서 17세기 사이 프랑(Frang)과 같이 쓰인 뒤, 프랑스 대혁명을 계기로 프랑이 리브르를 대신한다. 영국..
파일 백업 관련 개꿀팁. (클라우드, 버전관리)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gijjdd&no=65544 파일 날라갔다는 글보고 안타까워서 쓴다. ======================================= 글은 작가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핵심 자산이고, 대부분의 작가는 컴퓨터로 글을 쓴다. 그러면 글이 적힌 파일을 안전하게 지키는 건 필수적인 일이지. 그 중요한 파일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상단 링크에 있는 사례처럼 기존 파일에 덮어씌워지거나, 아니면 컴퓨터 내 파일이 날아갔다는 사람은 종종 있음. 그런 사람들을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 자체에서 자동저장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있긴 있다. 근데 난 이걸로는 만족 못해. 갑자기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