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수익 인증 및 연재 관련 이야기 거리. 2018년 12월 판매내역 저자 판매처 총매출 정산액 판매처 정산비율 지급액(세전) 네이버 ₩ 31,939,180 ₩ 21,903,647 ios 49% / andro 70% ₩ 15,332,553 카카오 ₩ - ₩ - 55% ₩ - 리디북스 ₩ - ₩ - 70% ₩ - 원스토어 ₩ - ₩ - 70% ₩ - 문피아 ₩ 10,295,600 ₩ 6,486,228 63% ₩ 4,540,360 조아라 ₩ - ₩ - 60% ₩ - 한국 이퍼브 ₩ - ₩ - 70% ₩ - 스낵북 ₩ - ₩ - 65% ₩ - 미스터 블루 ₩ - ₩ - 63% ₩ - 코미코 ₩ - ₩ - ios 60% / andro 70% ₩ - 교보문고 ₩ - ₩ - 70%(네이버 검색 유입은 50%) ₩ - ..
유료작 분석하고 있는 애들한테 몇 가지 해주고 싶은 말. 1. 필사하지 마라. 필사할 바에 또박또박 문장 읽으면서 해봐라. 아니면 손으로 직접 수기로 필사해라. 애초에 필사를 하라는 건, 한 글자 한 글자 또박또박 직접 쓰면서 그 문장을 곰씹으라는 거지, 한 번 직접 써보라는 게 아니다. 이걸 네가 타자기로 치고 있으면. 그게 한컴 타자 연습이랑 다를 게 뭐가 있냐? 옛날에 학교 컴퓨터 시간에 청산도 치라하면 2분컷 했지만 그 문장의 의미들을 나는 아직도 모른다. 그냥 한 글자 한 글자 곰씹으면서 읽는게 훨씬 너에게 도움이 될 거고. 그리고 이렇게 읽다보면 오히려 어색한 문장과 자연스러운 문장을 스스로 깨닫게 된다. 이건 기성작가들도 귀찮아서 안할 뿐이지 상당히 좋은 퇴고법 중 하나임. 2. 남의 글 표..
전업하고 싶으면 최소한 이건 했으면 한다 1. 하루 5500자에서 많게는 1만자 넘게 쓰기. 이건 정말 중요하다. 뭐든 쓰고 봐야 하거든. 워낙 말 많이 들어서 이건 그냥 다 알지? 2. 분석글 써보기 가끔 감이 없어서 그런지 상위권 작품 챙겨봐도 트렌드 모르는 애들 많더라. 이게 왜 성공했는지, 그리고 약점이 뭔지 생각해봐. 그리고 캐릭터 역할 부여와 서사 풀어나가는 구조의 방식도 알아보고 해라. 가끔 보다보면 전업하겠다고 하면서 열심히 노력한다고 하는데, 너 자신한테 물어봐라. 정말로 노력하고 있어? 고민은 해보고? 독자들 니즈는 생각해보고 있냐? 너의 뇌는 만능이 아니야. 분석하고 그걸 모아두는 걸 추천한다. 3. 클리셰 잘 써먹기 괜히 비튼답시고 망하는 거 쓰지 말고. 최대한 트렌드에 맞는 클리셰..
40억? 50억? 10억? 팩트에 가까운 이 바닥 탑클래스 수입 알려줄게 다들 어디서 찌라시 듣고와서 40억이나 50억이니 망상 뇌피셜 싸지르는 거 같은데. 내가 직접 확인한 진짜 웹소 탑클래스 수입을 알려줄게. 내가 알기로 일년에 20억 가까이 번 작가가 이 바닥에 아예 없는 건 아니야. 진짜 극 소수 몇 명 있다. 그리고 너희들이 예상하는 그 탑클 작가들이 맞을거야. 근데 그건 진짜 예외고. 대부분의 작가들이 10억을 못 넘어. 카카오건 네이버건 거기서 최고 수준 매출 내는 작가들도 수수료 다 때고 세금까지 다 때면 10억 못 넘기는 게 진짜 리얼 팩트다. 그냥 이해하기 쉽게 숫자로 얘기해주면 5~8억 정도 버는 작가가 이바닥 최상위권 작가들이라고 보면 되는데 숫자는 그리 많지 않다. 작가의 범위를 ..
웹툰 스토리작가가 보는 웹소설모바일에서 작성 안녕하세요 흔히들 말하는 좆툰... 아니 웹툰 글작가입니다 여기서 항상 좋은 아이디어를 얻고 가기에 몇 자 남기려고 합니다 1. 웹툰에도 정판충이 있다? 웹툰은 만화니까 모든 작가들이 만화스럽게 양심 싹 버리고 재미만 추구할거 같죠? 아니요 여러분이 정판충 정판충하는 것처럼 웹툰에도 아직도 퀄리티에 미련을 못버리는 인종이 있습니다 사실대로 말하면 저도 그 중에 하나에요 그냥 다 좆까고 트렌드 따라가고 재미만 있으면 되는데 작품성 신경쓰는 인간이죠 정판은 죄가 없듯 퀄리티 높은 만화도 죄가 없어요 오히려 일부 독자들이 그렇게 찾는 일본 만화 스러운 느낌이죠 근데 시발 이게 문제가 뭐냐면 웹툰 연재 포맷에 전~~~혀 맞질 않아요 그러니까 일본 만화랑 비교하지 말아..
여러분들도 다 할 수 있습니다. (기성작가 회고록) 사실 저는 2년전부터 웹소설 시장에 뛰어들었는데. 그때 당시에는 원고를 올려서 컨택 받는 건 전혀 몰랐고, 투고로만 활동해왔습니다. 곳곳에 쑤셔 넣다 보니, 이게 웬걸. 북큐브란 회사에서 같이 해보자 연락이 왔더군요. 근데 메일 내용에는 서울로 올라와서 원고에 대해 같이 얘기해보자는 내용이었습니다. 전 지방에 살아서 이때 당시 서울로 올라가는 것 자체가 큰 난관이었어요. 그래도 이런 것도 한번 경험이랍시고 모아둔 알바비로 서울행 kTX 기차표를 예매했습니다. 가서 과장님이란분을 만났는데, 지금 쓰는 소설 말고 새로운 작품으로 시작하라는 얘기를 듣게 되었죠. 조금 당황했지만, 새롭게 쓴 소설은 유통시켜주겠다는 말에 흔쾌히 승낙했습니다. 들뜬 마음에 밤을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