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1) 작위 일단 계급부터 간단하게 정리해드릴께요~ 황제 - 왕 - 황자 - 왕자, (대)공 - 공작 - 후작 - 백작 - 자작 - 남작 - 준남작 위에서 나열한 것 처럼 거의 이런 구도를 갖을꺼에요. 황제 다음으로 왕이고, 왕자의 위는 황자죠! 황태자나 왕세자는 설명이 필요하기에 이에 대해서는 밑에서 설명드릴께요~ 그리고 왕자와 대공은 위치가 같으며 왕자나 공주가 (대)공이 될 수도 있어요. 다음부터는 따로 설명이 필요할 것 같지가 않으니까 다음으로 넘어갈께요. 1. 황제와 왕은 독립적인 국가에서 절대 권력을 가진 수장 즉, 우두머리에요. 국가의 모든 힘의 중심이고, 모든 권력의 중심, 국가의 중심이에요. 이들은 신하의 간언과 청을 듣고 나라를 이끌어가죠. 참고로 이들을 가지고 소설을 쓸때 대표적으로 두..
국가 이름이야 짓는 방법이 여러 개 있는데, 가장 쉬운 방법이 바로 '실제로 존재하는 지명'을 사용하는 방식일 겁니다. [제로의 사역마]에서는 유럽의 지도를 대충 가져다놓고 영국이 연상되는 섬나라를 "알비온(Albion-영국의 시적 이름)", 독일 지방을 "게르마니아(로마시대)", 프랑스쪽을 "갈리아(로마시대)" 등으로 가져다 붙였습니다. 아니면 하나의 지명을 전체적으로 확대시켜볼 수도 있겠죠. 프랑스를 모티프로 한 나라를 지방의 이름인 '푸아투'라고 한다든지, 독일을 모티프로 했다면 '작센'이라든지 하는 식으로요. 저도 신이 아닌 이상, 그런 식으로 올리겠습니다. -국가- 1) 파다니아 공화국 - 북이탈리아 분리운동 때 제시된 국명 2) 히스파니아 - 옛 스페인의 라틴식 이름 3) 프리지아 - 소아시아..
황제-황태자-왕-왕세자-왕자-대공-공작-후작-백작-자작-남작-영주-기사단장-기사 여기서 대공의 밑으로 재상(prime minister)이 있고 원로대신(senior)이 있다. 황제 제국의 왕 황태자 차기 황제 왕 왕국의 왕(이는 제국에 귀속되는 국가를 뜻) 왕세자 그 왕국의 차기 왕 대공 제국 혹은 왕국에 귀속되는 대공국의 국가로서 거대한 귀족의 영토라고 보는 편, 그또한 국가로서도 치부하기도 하며 일반론으로는 한 나라를 가진 공작이라고 부르고 이해 제국이나 왕국이든 공작의 수는 3명을 넘지 못함(대부분 황족) 후작은 개국공신(이하 뼈대있는가문)의 귀족이나 권세가 적은 황족들의 칭호로서 한 나라에 7을 넘지못함 (황태자,왕자,공작,후작까지를 예하 라고 칭함,물론 후작의 경우는 왕족후작만을 예하라 칭하고 ..
양산형 판타지 쓰는 놈을 위한 중세 계급표 중세유럽의 계급은 크게 1계급인 신을 섬기는 성직자 계급, 전사 계층인 제 2계급 귀족, 노동을 하는 계급인 제 3 계급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제 1계급과 제 2계급 즉 성직자와 귀족은 비슷한 권력과 사회적 지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어쨌거나, 중세유럽에 존재했던 계급을 각기 성직자 계급, 귀족계급, 평민계급으로 나눠 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황제 / 태자 / 영주 / 성주 / 장군 / 기사단장 / 기사 병사 / 시민 / 자유민 / 농노 / 대 신관 / 신관 / 사제 1. 성직자 계급 중세유럽의 성직자 계급은 크게 교황 > 추기경 > 대주교 > 주교 > 보좌주교 > 수도원장 > 부 수도원장 > 사제 > 수도사 순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 성..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