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 명가 양가장, 양가창

반응형

창의 명가 양가장, 양가창

 

양가창

 

 

양가창은 창을 휘두를 때 이화꽃이 휘날리는 것같다고 하여, "양가이화창(楊家梨花槍)"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그냥 이화창(梨花槍)이라고도 부른다. 명나라때는 최상승의 창법으로 받들어졌다. 고대의 병법서인 <<진기>>, <<검경>>, <<무편>>, <<기효신서>>등에도 모두 기록이 되어 있다.

 

대중들이 양가창에 대하여 받는 인상은 대부분 양가장(楊家將)으로 인한 것이다. 이외에 <<사조영웅전>>등 소설의 영향도 있다. 양가창은 그리하여 무림에서 공인된 제1명창이 된 것은 송나라때부터라고 한다. 누가 언제 만들었는지는 정설이 없고, 고증이 필요하다

 

일설에는 남송말기 홍요군(紅袄軍)의 수령인 이전(李全)의 처인 양묘진(楊妙眞)이 만들었다고 한다. 이는 <<송사. 이전전>>에 나온다. 다만, 양가창은 명청시기에 가장 널리 전파되고, 영향이 가장 큰 무술유파가 되었으므로 이 설이 근거가 있는지는 좀더 조사해봐야 한다. 척계광은 <<기효신서. 장병단용설편>>에서 이렇게 말했다: "양가창은 변화막측하고, 조화무궁하며, 천하가 모두 숭상한다." 유대유는 <<검경>>에서 이렇게 말했다: "산동, 하남의 각 처의 무술교사는 양가창법을 전했다" 오수도 <<수비록>>에서 이렇게 말했다: "명청양대에 이미 무림에 이름이 높고 존중받았다. 양가청이 고금에 이름을 날린 것의 원인을 따져보면, 바로 그것이 비교적 일찍 계통적으로 완비된 창법이론과 정묘한 실용창법체계를 형성했다는 것때문이다."

 

양가창의 기격전술의 특징은 "빠름"을 위주로 하는 것에 있다. 허실을 겸비하고, 강유를 갖추었다. 초식을 펼칠 때 날카로움을 막을 수가 없고, 허실이 함께 들어있고, 물러날 때도 바람과 같고, 무게가 있고 기세가 크다. 양가창에는 뛰어난 점이 하나 있는데, 일단 성공한 후, 기세를 틈타서 공격하면, 적은 다시는 일어날 기회를 얻지 못한다는 것이다. 바로 "승승추격(乘勝追擊)"을 잘 발휘한 것이다.

 

양가창은 양가육합팔모창법(楊家六合八母槍法)이라고 부르는데, 양가창의 육합의 기법과 팔모의 기법을 싣고 있기 때문이다.

 

팔모(八母)의 기법은 창법의 여덟가지 기본 동작을 말한다. 여덟개의 모태가 되는 기술이라 하여 팔모라고 부르는 것. 팔모의 기술은 여러가지 설이 있으나, 대체로

 

권리창(圏裏槍)

권외창(圏外槍)

권리저창(圏裏低槍)

권외저창(圏外低槍)

권리고창(圏裏高槍)

권외고창(圏外高槍)

흘창(吃槍)

환창(澋槍)

 

의 여덟가지 기법을 말한다.

 

육합창은 일합(一合)에서 육합(六合) 까지의 여섯가지 합(변식, 연계식)을 이르는 것으로

 

일합(一合) 진왕마기(秦王磨旗)

이합(二合) 봉점두(鳳點頭)

삼합(三合) 백사농풍(白蛇弄風)

사합(四合) 철소추(鐵掃箒)

오합(五合) 발초심사(撥草尋蛇)

육합(六合)은 일절(一戟), 이진(二進), 삼란(三攔), 사전(四纏), 오나(五拏), 육직(六直)의 연계를 말한다.

 

이 창법 초식들은 꽤나 복잡한 초식이다보니 어리석은 병사들이 전부 익히기는 어려울테고, 단지 써놓을테니 관심있는 자가 알아서 익히라고 적혀있다.

 

병사를 가르칠때는 단지 (), (), (), (), 상란(上攔), 하란(下攔)의 여섯 기법 만을 쓰고, (), (), (), ()의 기법은 대문(大門)과 소문(小門)이 있으니 그 차이를 두어 연습시키면 충분하다고 한다

​2015.01.01

창술의 기본기

 

箚鎗 : 向前刺鎗 (차창 : 향전자창)

차창: 전방을 향해 찌르는 창

拏鎗 : 向右壓鎗 阻擋對方攻擊 (나창 : 향우압창 조당대방공격)

壓鎗時 做圈鎗動作 所以也叫 圈裏鎗

(압창시 주권창동작 소이야규 권리창”)

나창 : 오른쪽으로 누르는 창 공격하는 적을 막는다

창을 누를 때 창이 둥글게 휘므로 권리창 (안으로 둥글게 휘는 창)” 이라 한다

攔鎗 : 向左壓鎗 阻擋對方 對我方身體外側的攻擊 也叫 圈外鎗

(란창 : 향좌압창 조당대방 대아방신제외측적공격 야규 권외창”)

란창 : 왼쪽으로 누르는 창 신체외측의 공격을 막으므로

권외창 (밖으로 둥글게 휘는 창)” 이라 한다

顚鎗 : 由上向下點擊, 可以格擋對方向我下方的攻擊,

也可以扎傷 對方襠部, 膝蓋, 脚面等

(전창 : 유상향하점격, 가이격당대방향아하방적공격,

야가이찰상 대방당부, 슬개, 각면등)

전창 : 위에서 아래로 점을 찍듯이 공격, 적의 아래를 공격

허벅지, 무릎, 다리 등을 찔러 상처를 입힌다

捉鎗 : 用鎗尖由上方的左側向右側壓住對方向我頭部刺扎的鎗的技法

(착창 : 용창첨유상방적좌측향우측압주대방향아두부자찰적창적기법)

착창 : 내머리를 찔러오는 창을 위쪽 좌에서 우로 눌러 창끝을 이용해 막는 기법

櫓鎗 : 用鎗尖由下方的右側向左側撩撥,

阻擋對方向我膝蓋或小腿扎來的鎗的技法

(로창 : 용청첨 하방적우측향좌측료발,

조당대방향아슬개주소퇴찰래적창적기법)

로창 : 내무릎을 향하는 적을 아래쪽 우에서 좌로 다스려(비스듬히 ) 창끝으로 막는다,

纏欄 : 用鎗尖在水平前方 向左, 向下, 向右, 向上 繞纏一圈的技法

(전란 : 용창첨재수평전방 향좌, 향하, 향우, 향상 요전일권적기법)

전란 : 창끝을 이용해서 수평에서 좌, 아래, , 위 차례로 얽어 묶어 한바퀴 돌리는 법

裏把門 : 持鎗斜向身體內側, 鎗尖在右側肩部前方的防守技法

(리파문 : 지창사향신체내측, 창첨재우측견부전방적방수기법)

리파문 : 몸안쪽으로 창을 꺼내 지킨다. 창끝이 우측 어깨 앞에 있어 막는 기법

外把門 : 與裏把門相對的防守技法, 鎗尖指向自方左側肩部

(외파문 : 여리파문상대적방수기법, 창첨지향자방좌측견부)

외파문 : 리파문과 같이 상대를 막는 기법, 창끝이 좌측 어깨를 향한다

閃賺 : 虛晃一鎗, 動作可以向左, 也可以向虛晃, 目的是引開對方注意力

(섬잠 : 허황일창, 동작가이향좌, 야가이향허황, 목적시인개대방주의력)

섬잠 : 빈틈을 보여 상대방의 주의력을 떨어뜨리는 것이 목적이다

還鎗 : 對方攻擊過來, 我方格擋後馬上還擊的技法

(환창 : 대방공격과래, 아방격당후마상환격적기법)

환창 : 적이 공격 후 돌아가면 나는 막은 후 돌려치는 기법

儘頭鎗 : 雙手持鎗把根部, 盡力自前方目標扎刺

動作路線與扎鎗相同, 但比扎鎗攻擊距離遠, 力量大, 收鎗則較慢

(진두창 : 쌍수지창파근부, 진력자전방목표찰자

동작로선여찰창상동, 단비찰창공격거리원, 력량대, 수창즉교만)

진두창 : 양손으로 창자루 끝을 잡고 전방의 목표를 힘껏 찌른다

동작이 찰창과 같으나 찰창보다 공격거리가 길고 힘이 많이들어

창을 거두는 것이 느리다

撥草尋蛇 : 用鎗尖在地面來回撥動, 意欲扎刺對方的脚背及踝關

(발초심사 : 용창첨재지면래회발동, 의욕찰자대방적각배급과관)

발초심사 : 창끝을 이용해 지면에 돌리는 것

상대방의 복사뼈에서 다리 등까지 찌르는 것을 뜻한다

邊鎗 : 卽邊攔鎗, 與下面的 裙攔鎗是配對技法

邊攔鎗屬裏把門技法, 裙攔鎗屬外把門技法

(변창 : 즉변란창, 여하면적 군란창시배대기법

변란창속리파문기법, 군란창속외파문기법)

변창 : 즉 변란창이다. 아래로 향한 군란창법과 같아 서로 돕는 기법이다

변란창은 리파문 기법에 속하고, 군란창은 외파문 기법에 속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