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모용세가(慕容世家) 흔히 5대세가나 7대세가로 표현되는 대표적인 무림의 세가. 무공이 뛰어나고 특히 지략 면에서는 제갈세가나 남궁세가등과 쌍벽을 이루는 세가로 자주 묘사된다. 5호16국 중 연(燕)나라(전연(前燕 337∼370), 후연(後燕 384∼407), 남연(南燕 398?∼410),서연(西燕 384∼394))의 왕족인 모용씨들이 연나라 멸망후 무림에 정착한 세력이 모용세가가 됨. 우문세가와 더불어 대표적인 선비족의 무림 세가. 선비(鮮卑)족의 한 갈래인 모용씨는 중국의 화이론적 시각때문에 천시의 대상으로 표현되기도 하며 그러한 시각때문에 종종 무림에 음모를 꾸리는 세력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모용씨는 춘추전국시대의 연(燕)나라와는 상관이 없다. 5호16국의 연(燕)나라의 왕족이지 진시황 이전의 전국칠..
제갈세가(諸葛世家) 오대세가의 하나인데 흔히들 신기제갈(神機諸葛)이라고하여 대대로 두뇌가 총명한 후손이 많이 나오는 집안입니다. 하지만 무학 의 자질에서 골격은 평범한 편입니다. 지법이나 곤법이 발달한 편이고, 암기술 등에도 능하지만 무엇보다도 기문진법(奇門陣法)과 역리(易理), 토목기관지술(土木機關之術) 등에 더욱 자신이 있더랍니다. 간혹 여러방면에 걸쳐 뛰어난 인재들이 나오기도 하지만 그리 흔한 일은 아니고, 오랫동안 축적되어 온 가업을 이어가는 수준이어서 그다지 괄목할만한 발전은 기대할 수가 없습니다. 대표무공으로는 내공,심법 현원전단신공(玄元 檀神功) 대천성신공(大天星神功) 소천성공(小天星功) 검법 철현검법(鐵絃劒法) 대천성검법(大天星劍法) 소천성검법(小天星劍法) 칠현무형검(七絃無形劍:무형기검의 ..
혈도 혈 도 ( 혈 or 혈도 ) 인체상에는 급소 즉 심히 허약한 곳이 따로 있습니다. 이것이 혈이라는 곳입니다. 우선 21개 소의 점혈이라는 곳이 있고 31개의 극혈이라는 곳이 있습니다. 이 혈만 알면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치한(?)을 용이하게 제압할 수 있습니다. 점 혈 21 법 점혈이란 인체의 급소를 손가락 끝으로 내질러 호신의 목적을 달하는 무술입니다. 여기에 쓰이는 혈은 마혈이라는 인체의 취약점에 쓰입니다. 마혈은 글자 그대로 인체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마비시키는 것으로 인명에 대한 심대한 상해 없이 호신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점에 무(武)의 본래적인 목적에 가장 타당하다 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그 대개가 곤,발 등 공격하기 쉬운 곳에 있어 누구나 큰 수련 없이도 위급한 경우에 호신에 이용할..
하북팽가 ~ 무림 오대세가중 하북팽가! 하북팽가(河北彭家) 하북성 북경에 위치한 하북팽가는 도법에 능하다. 하북팽가는 전통적으로 두뇌가 총명하지는 않지만 근골이 훌륭한 자손들이 많이 태어나는 가문으로, 체구가 크고 신력을 타고난 인재들이 태어나는 전형적인 실전적 투사들의 집안이라고 할 수 있지만 강호에서의 영향력은 그다지 큰 편이 아니다. 하북팽가의 대표무공으로는 내공,심법 건곤미허신공(乾坤彌虛神功) 혼원벽력신공(混元霹靂神功) 장법 건곤신장(乾坤神掌) 혼원벽력장(混元霹靂掌) 권법 파갑추(破甲錘:권법) 퇴법 철혈백사십팔퇴(鐵血百四十八腿) 신법,보법 어기신풍(御氣神風:신법) 미허신보(彌虛神步:보법) 혼원보(混元步) 도법 건곤연환탈백도(乾坤連環奪魄刀) 혼원벽력도(混元霹靂刀) 철혈적성도(鐵血摘星刀) 왕자사도(王..
남궁세가! 무림 오대세가 中 남궁세가 남궁세가(南宮世家) 오대세가의 하나로서, 오대세가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가문이라고 한다. 검법을 주로 사용한다 안휘성 천주산에 위치한 남궁세가는 오대세가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가문으로 오대세가의 맹주적 위치에 있다. 구파일방과 더불어 정파무림의 또 다른 지주로 묘사되지만 일부에서는 정파의 허울을 뒤집어쓴 위선적인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내공, 심법 천뢰제왕신공(天雷帝王神功) 창궁대연신공(蒼穹大衍神功) 천뢰기(天雷氣:강기공) 검법 제왕검형(帝王劍形) 고혼일검(孤魂一劍) 제왕무적검강(帝王無敵劍) 대연검법(大衍劍法) 섬전십삼검뢰(閃電十三劍雷) 창궁무애검법(蒼穹無涯劍法) 창궁비연검(蒼穹飛燕劍) 천풍검법(天風劍法) 철검십식(鐵劍十式) -분천지(分天地) -사방금(四方禁..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