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무당, 무당에 대해 좀 더 알아봅시다. 무속신앙의 무당등에 대해서 좀더 알아보자 “일반적으로 한국인들은 사회적으로는 유교도이고, 철학적으로는 불교도이며, 고난을 당할 때에는 영혼숭배자이다.”
18반 병기, 십팔반병기에 대해 알아보자 무협등을 보다보면 자주 등장하는 18반병기라는 말이 있다 .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다 안나오기 때문에 잘 모르는 편이다 이에 대해서 조금이나마 알아보자 십팔반병기(十八般兵器) “ 명(明)나라 이후 무기 및 무기를 사용하는 기술의 총칭으로서 십팔반무예(十八般武藝), 무예십팔사(武藝十八事), 십팔반병기(十八般兵器)라는 용어가 등장한다. 이 용어는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은 일본에서도 사용되었다. 일본의 무술세계에서도 무기를 다루는 기술의 총칭으로 무예십팔반(武藝十八般)이라는 용어가 자리잡게 되었다. ” 십팔반병기는 나라, 지역, 책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기술되어 있다. 다음은 관련문헌 속의 십팔반병기이다. 《오잡조(五雜俎)》: 궁(弓), 노(弩), 창(槍), 도(刀), ..
천살성,절맥,영물,영약에 대해 알아보자 천살성 [天殺星]은 연잎이다. 천살성이란 존재는 세상에 대한 살기가 엄청나다. 하지만 '나'라는 존재는 그러한 것을 세상으로 표출하기보다 속으로 쌓아왔기 때문에 그러한 것을 절제하기 위해서 자유로운 성격을 묶어야만 했던 것이다. 비슷한 천첩성, 천우성, 천살성, 천교성, 지위성, 지영성, 지좌성 지우성, 지수성, 지리성, 지진성, 지마성, 지수성, 지찰성, 지형성, 지장성, 지적성 등이 있다. 보통 무협에서 천살성은 무림을 피로물들게 만들 존재를 나타낸다 천첩성 - 자인 지영성 - 치하야 천살성 - 봇슈 지좌성 - 아마라리크 천교성 - 티그르 지우성 - 키라르드 지위성 - 요미 지수성 - 더 풀러 지형성 - 소로우 지마성 - 남나 지장성 - 스베 지수성 - 오타 지..
창의 명가 양가장, 양가창 양가창 양가창은 창을 휘두를 때 이화꽃이 휘날리는 것같다고 하여, "양가이화창(楊家梨花槍)"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그냥 이화창(梨花槍)이라고도 부른다. 명나라때는 최상승의 창법으로 받들어졌다. 고대의 병법서인 , , , 등에도 모두 기록이 되어 있다. 대중들이 양가창에 대하여 받는 인상은 대부분 양가장(楊家將)으로 인한 것이다. 이외에 등 소설의 영향도 있다. 양가창은 그리하여 무림에서 공인된 제1명창이 된 것은 송나라때부터라고 한다. 누가 언제 만들었는지는 정설이 없고, 고증이 필요하다 일설에는 남송말기 홍요군(紅袄軍)의 수령인 이전(李全)의 처인 양묘진(楊妙眞)이 만들었다고 한다. 이는 에 나온다. 다만, 양가창은 명청시기에 가장 널리 전파되고, 영향이 가장 큰 무술유파가 ..
조선시대 무관직 계급 정1품:도제조(참모총장급) 종1품:제조(군사령관급) 정2품:도총관(군단장급) 종2품부총관 병마절도사(중장급) 정3품:병마절제사(사단장급) 종3품:병마첨절제사(여단장급준장) 정4품:군호(연대장 대령급) 종4품:첨정 병마동첨절제사(대대장급) 정5품:사직(소령급) 종5품:판관 정6품: (대위급) 종6품:종사관(중위-대위급) 정7품:참군(중위급) 종7품:부사정(고참소위급) 정8품:사맹(소위급) 종8품:부사맹(상사급) 정9품:별장(하사관) 장용영 대장인 장용사는 정2품입니다. 내금위는 원래 종2품이었다가, 나중에 정3품직으로 변경. 전라우수사는 수군절도사니까 정3품입니다. 장용영은 군대 규모가 워낙 크고, 전라우수사는 지역해군사령관이므로 계급이 높구요, 내금위는 병력이 200명을 못 넘는 소..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